신화
My life is a story of the self-realization of the unconscious. Everything in the unconscious seeks outward manifestation, and the personality too desires to evolve out of its unconscious conditions and to experience itself as a whole. I cannot employ the language of science to trace this process of growth in myself, for I cannot experience myself as a scientific problem.
What we are to our inward vision, and what man appears to be sub specie aeternitatis, can only be expressed by way of myth. Myth is more individual and expresses life more precisely than does science. Science works with concepts of averages which are far too general to do justice to the subjective variety of an individual life.
Thus it is that I have now undertaken, in my eighty-third year, to tell my personal myth. I can only make direct statements, only “tell stories.” Whether or not the stories are “true” is not the problem. The only question is whether what I tell is my fable, my truth.
나의 삶은 무의식의 자아실현의 이야기다. 무의식에 있는 모든 것은 바깥으로 발현되려하고 성격또한 그 무의식의 조건안에서 진화하고 그 전체로서 경험하려 한다. 내안의 이 성장의 과정을 이어나는데 나는 과학의 언어를 적용할수 없다. 왜냐면 나자신을 과학의 문제로서 경험하지 않기 때문이다.
우리 내면의 눈으로 본 우리 자신은, 그리고 사람에게 영원한 진실처럼 보이는 것은 신화의 방식으로서 밖에 표현될수 없기 때문이다. 신화는 과학보다 개인적이고 삶을 정확하게 표현한다. 과학은 개인의 삶의 주관적인 다양성을 적절히 표현하기에는 너무나 일반적인 평균의 개념하에 작동한다.
그러므로 나는 83살의 나이에 내 개인의 신화를 이야기하려 한다. 나는 직접적인 진술을 할 수 밖에 없고 단지 “이야기”를 할수 밖에 없다. 그 이야기들이 “진실”인지는 중요하지 않다. 오로지 내가 말하는 것이 나의 우화, 나의 진실이냐가 중요하다.
Memories, Dreams, Reflections by C.G. Jung 중에서
—-
칼 융의 자서전의 첫 대목이다. 무의식과 신화의 연구자다운 멋진 출발이다.
각자 우리는 살면서 자신의 신화를 만들어 나간다. 자신의 삶을 이야기를 할 때, 말한 것이 사실이냐는 그리 중요한 문제가 아닐 수 있다. 보다 중요한 것은 각자가 자신의 경험한 진실안에서 어떻게 스토리를 잇고 이를 바탕으로 삶을 전개해나가는지를 듣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