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밀함
The argument he put forward was persuasive in its simplicity: precision, he said,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 modern world, yet is invisible, hidden in plain sight.
We all know that machines have to be precise; we all recognize that items that are of importance to us (our camera, our cellphone, our computer, our bicycle, our car, our dishwasher, our ballpoint pen) have to sport components that fit together with precision and operate with near perfection; and we all probably suppose that the
more precise things are, the better they are. At the same time, this phenomenon of precision, like oxygen or the English language, is something we take for granted, is largely unseen, can seldom be fully imagined, and is rarely properly discussed, at least by those of us in the laity. Yet it is always there, an essential aspect of modernity that makes the modern possible.
그의 주장은 간결하기에 설등적이었다. 그는 말했다. 정밀함이야 말로 현대 사회의 필수요소다. 보이지 않고 맨눈으로 볼수 없게 숨겨져 있지만 말이다.
우리 모두는 기계는 정밀해야 함을 알고 있고 우리 모두는 우리에게 중요한 물건들 (우리의 카메라, 휴대전화, 컴퓨터, 자전거, 자동차, 식기세척기, 볼펜)이 정밀하게 부품들이 맞아돌아가야 하고 거의 완벽하다시피 작동해야함을 알고 있다. 그리고 우리모두는 아마도 이런 물건들이 더욱 정밀할수록 더 좋다고 생각한다. 동시에 이 정말함이라는 현상이, 마치 산소나 언어처럼 우리가 너무도 당연시 여기는데다가, 대부분 간과되고, 충분히 머리속으로 상상하지도 않고, 적절하게 이야기되지도 있는다. 적어도 우리같은 일반인들에게는 말이다. 하지만 이는 언제나 현대사회를 가능하게 하는 현대성의 필수요소로 언제나 있어왔다.
“The Perfectionists” By Simon Winchester 중에서
——
정말 그렇다. 현대사회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우리가 간과하고 눈여겨 보지않지만 언제나 대부분의 경우 정확히 정밀하게 맞물려돌아가는 기계 전자제품 전기 설비 때문이 아닌가. 언제나 정교하게 맞물려 돌아가기에 고장이나 나야 관심을 가지게 되는 그 정밀한 물건들의 세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