밑줄

2월 15일 - poignancy

skyelee 2019. 2. 17. 00:53


Daniel H. Pink “WHEN: The Scientific Secrets of Perfect Timing” 기록해 놓고 싶은 한구절.


The researchers found that at the core of meaningful endings is one of the most complex emotions humans experience: poignancy, a mix of happiness and sadness. For graduates and everyone else, the most powerful endings deliver poignancy because poignancy delivers significance. One reason we overlook poignancy is that it operates by an upside-down form of emotional physics. Adding a small component of sadness to an otherwise happy moment elevates that moment rather than diminishes it. “Poignancy,” the researchers write, “seems to be particular to the experience of endings.” The best endings don’t leave us happy. Instead, they produce something richer — a rush of unexpected insight, a fleeting moment of transcendence, the possibility that by discarding what we wanted we’ve gotten what we need.


연구자들은 의미있는 결말의 핵심에는 인간이 겪는 가장 복잡한 감정중 하나인 포이그넌시가 있다고 한다. 이는 행복과 슬픔이 공존하는 감정이다. 졸업생들 아니라 ( 연구가 졸업생들 대상으로 연구였음) 모든 사람들에게 가장 강렬한 결말에는 포이그넌시가 담겨있고, 그리고 감정이 의미를 부여한다우리가 이에 주목하지 않는 이유는 포이그넌시는 우리가 감정을 경험하는 방식과 정반대의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이다. 행복한 순간에 슬픔 한조각을 더하는 것은 순간을 축소하지않고 고양시킨다. 포이그넌시는 특히 결말의 경험에 해당하는 것처럼 보인다고 연구자들은 썼다. 베스트 결말은 우리를 행복하게 만들지 않는다. 그대신 좀더 깊이있는 무언가를 만들어 낸다. 예상치 못한 영감이나, 초월적인 순간적 경험, 또는 우리가 원하는 것을 버리는 대신 우리에게 필요한 것을 받는 말이다.


——

Poignancy 어떻게 한국말로 번역해야 할지 모르겠다. 생각에는인생은 아름다워같은 영화를 보고 나서 느끼는 느낌같은 것이랄까. 형언할 없는 눈부신 아름다움을 슬픔이 꿰뚫고 있는 감정 같은 것이다. 눈부시게 생생한 감각에 한줄기 슬픔이 더해져 심장 깊은 곳을 찌르면서 더 아름답게 반짝이는 것 같은 느낌이다.


Poignancy는 포이년시, 즉 g가 뭉개지는 발음으로 하는게 표준 발음이다. 하지만 많은 미국인들이 포이그넌시라고 발음하고 두 발음이 함께 사용된다. 포이년시가 아니라 포이그넌시라고 쓴 이유는 포이그넌시가 나에게는 좀더 가시돋친, 포이그넌트한 느낌이 난다. 


——

이는 러시아 작가 도스토예프스키의 인생을 바꾼, 가장포이그넌트 순간. 부분은 로버트 그린의 “The laws of human nature” 중에서 인용한 것이다.


In December of 1849, the twenty-seven-year-old writer Fyodor Dostoyevsky, imprisoned for participating in an alleged conspiracy against the Russian czar, found himself and his fellow prisoners suddenly transported to a square in St. Petersburg, and told that they were about to be executed for their crimes. This death sentence was totally unexpected. Dostoyevsky had only a few minutes to prepare himself before he faced the firing squad. In those few minutes, emotions he had never felt before came rushing in. He noticed the rays of light hitting the dome of a cathedral and saw that all life was as fleeting as those rays. Everything seemed more vibrant to him. He noticed the expressions on his fellow prisoners’ faces, and how he could see the terror behind their brave façades. It was as if their thoughts and feelings had become transparent. At the last moment, a representative from the czar rode into the square, announcing that their sentences had been commuted to several years’ hard labor in Siberia. Utterly overwhelmed by his psychological brush with death, Dostoyevsky felt reborn. And the experience remained embedded in him for the rest of his life, inspiring new depths of empathy and intensifying his observational powers. This has been the experience of others who have been exposed to death in a deep and personal way.


1849 12 27살의 작가 표도르 토스토예프스키는 러시안 짜르에 대한 반역에 참가했다는 이유로 감옥에 갖혔는데, 어느날 동료 죄수들과 함께 세인트 페테르부르그의 광장으로 갑자기 이송됐고 그리고 반역죄로 처형될거라고 듣게 된다. 사형선고는 전혀 예상치 못한 것이었다. 도스토예프스키에게 처형수 앞에 서기까지 불과 몇분밖에 남지 않았다. 분동안,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한 감정들이 밀려들었다. 그는 빛이 성당의 지붕을 비치는 것을 보았고 모든 삶이 빛처럼 순식간에 지나가는 것임을 보았다.

모든것이 생생해 보였다. 그는 동료죄수들의 얼굴 표정에서 용감한 얼굴 이면의 공포를 보았다. 그들의 생각과 감정이 매우 투명한 것처럼 생생히 드러났다. 마지막 순간, 짜르의 사절이 처형장에 와서 수년동안 시베리아 노역으로 선고가 바뀌었다고 말했다. 죽음에 대한 생각들로 완전히 압도되어있었던 도스토예프스키는 다시 태어난거 같았다. 그리고 경험은 그의 깊은 공감능력과 관찰력을 자극해 그의 남은 생애에 계속 깊게 각인되어 있었다. 이는 죽음을 앞둔 타인의 경험을 스스로가 깊이 체험한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