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월 2일 - 다양한 환경에서 공부하자
    심리학 2019. 2. 2. 23:39


    우리는 공부한다고 하면, 아무도 없고 조용한 , 같은 장소에서 공부해야 된다고 믿는다. 하지만 뉴욕타임즈 과학 칼럼니스트 베네딕트 케리의  "우리는 어떻게 배우는가 (How we learn)"에 따르면 이는 잘못됐다 한다





    주변 환경이 사실은 배움을 방해하는 것이 아니라, 배움을 돕는다고 한다. 예를 들어 이런 거다. 내가 모짜르트 소나타를 들으면서 공부했다면, 나중에 그 모짜르트 소나타를 들으면 공부한 내용이 떠오른다. 실제로 실험을 해보면 공부할 들었던 특정 음악을 시험 볼때 들려주면 시험성적이 높다고 한다. 두뇌가 공부한 내용과 음악을 함께 처리해 나중에 음악이 기억을 돕기 때문이다


    장소도 마찬가지다. 공부한 장소에서 시험을 보면 시험 성적이 좋다고 한다. 공부한 장소의 환경이 공부 내용과 함께 두뇌에 저장돼 있어 있기 때문에  환경이 시험 볼 때 기억을 돕는다. (그렇다면 괜히 학원에서 따로 공부하는 것 보다는, 학교에서 공부하는게, 사실 시험을 잘볼 수 있게 돕는 셈이다. 학교에서 시험을 보니까 말이다.) 


    스티븐 스미쓰라는 심리학자의 1986 실험이 재밌다. 학생들을 세그룹으로 나눴다. 그룹은 모짜르트의 피아노 연주곡을 들려주고, 그룹은 재즈 음악을 들려주고, 나머지 한그룹은 조용한 환경에서 10분동안 암기를 시켰다.

    이틀 후에 그들을 다시 불러다가 암기한 내용을 기억하는 시험을 보도록 했다. 그룹을 나눴다. 예를 들면 모짜르트를 들으면서 암기한 사람들을 다시 그룹으로 나눠, 그룹은 모짜르트를 들으면서 시험보게 하고, 다른 그룹은 재즈를 들으면서, 나머지 그룹은 조용한 환경에서 시험을 보게했다.


    누가 가장 시험을 잘봤을까. 물론 암기할 들은 음악과 시험 볼 때 들은 음악이 같은 집단이다. 공부할 들은 모짜르트를 들으면서 시험본 사람들, 그리고 공부할 들은 재즈를 들으면서 시험본 사람들이다.


    근데 재밌는 것은 조용한 환경에서 공부하고 조용한 환경에서 시험본 사람들은 이들보다 시험을 훨씬 못봤는 점이다. 암기할 때와 시험 볼 때 같은 음악을 들은 집단들은 평균 20개를 기억했다면 조용한 곳에서 공부하고 시험본 사람은 11개를 기억했다


    그럴까.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조용한 환경이 기억을 방해하는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조용한 곳에서 공부한 사람들은 함께 저장돼서 나중에 기억을 돕는 환경의 큐가 상대적으로 부족했기 때문이다.


    만약, 다양한 환경에서 공부한다면 어떨까.  방에서도 하고, 카페에서도 하고, 야외에서도 하고, 사무실에서도 하고, 시끄러운 곳에서도 하고.. 공부한 내용이 다양한 환경과 연관돼 머리속에 저장되어 있어서, 다양한 장소와 환경에서도 기억이 나는 활용도가 높아지는 지식을 쌓을 있지 않을까. 예를 들어 외국어를 공부한다고 하면 책상에서 조용히 앉아 공부하는게 아니라 외국어를 사용할 만한 다양한 환경에서 공부한다면 써먹을수 있지 않을까.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SCARF  (0) 2019.07.24
    3월 21일 - 동기부여  (0) 2019.03.22
    3월 19일 -잘할수 있을까  (0) 2019.03.19
    2월 3일 - 기억이 잘 안나야 배운다  (0) 2019.02.04
    2월 1일 - 글쓰자  (0) 2019.02.02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