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Maybe you should talk to someone책 2019. 8. 24. 05:33
“Maybe you should talk to someone”을 읽었다. 심리상담가의 에세이다. 심리상담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심리상담이 어떻게 사람들을 도와줄 수 있는지에 대해 알수 있다. 저자는 모든게 불만인 성공한 방송작가, 암선고 받은 교수, 알콜중독 젊은이, 인생을 잘못산 노인 등을 상담하며, 자신도 남친과 뜻하지 않은 결별후 다른 상담가에서 상담받는다. 상담가로서의 자신과 상담받는 사람으로서의 자신이 맞물려 돌아간다. 글이 상당히 유머러스해서 곳곳에 웃음을 자아내는 게 매력인 책이다. 상담받는 사람들이 흔히 갖는 내면의 심리 역시 — 예를 들면 자신이 상담가가 가장 좋아하는 환자였음 좋겠다라는 바램 같은 것 — 상담받는 사람으로서의 자신의 이야기를 통해 솔직히 드러낸다. 마지막에 모든 상담사례들..
-
Upheaval책 2019. 8. 13. 23:41
"총균쇠"로 유명한 미국의 지리학자 제레드 다이아몬드의 새책 “Upheaval”을 읽었다. 이는 몇몇 국가가 어떻게 위기를 극복해왔으며 앞으로 어떤 위기를 어떻게 극복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이야기다. 개인이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실업, 가족의 죽음이나 병, 이혼 등) 철저한 현실 인식을 바탕으로 스스로 책임감을 받아들이고 자신의 정체성과 강점등은 간직하되 위기극복을 위해 필요한 부분은 스스로 변화해 나가야 한다. 그는 기본적으로 국가의 위기도 마찬가지라고 본다. 핀란드, 호주, 인도네시아, 칠레, 독일, 일본, 그리고 미국의 사례를 들어 설명한다. 가장 흥미로웠던 것은 핀란드였다. 스칸디나비아의 잘살고 행복지수 높은 복지국가 중 하나로 막연히 알고 있던 나라가 그런 굴욕의 역사가 있는지..
-
6개월 단상단상 2019. 8. 7. 01:42
매일 할 것이 많아서 매일 적기를 포기했다. 기억하고 싶은 것을 중심으로 때때로 적고 싶다. 주로 책에서 읽은 이야기를 중심으로. 블로그를 운영한지 6개월은 되었으므로 기념으로 타로 식스 스워드 카드를 보았다. 돌봐야 하는 아이와 함께 고개를 숙이고 가슴에 고민을 안고 아니면 가슴속 비수같은 고통을 감내하며 어디로 향하는지 보지 않은채 배를 타고 어디론가 떠나가는 사람. 그리고 그 뒤에서 배의 노를 저어주는 사람. 나 역시 나에게 소중한 것들과 그리고 내면의 고민과 함께 어디론가 떠나고 있지만, 어디로 향하고 있는지 똑똑히 마주할 용기도 없지만, 내가 보이지 않은 뒷편에서 나에게 주어진 길을 갈 수 있도록 돕는 추진력을 주는 무언가가 있음을 믿어 보자.
-
트랜지스터밑줄 2019. 7. 31. 00:30
There are now more transistors at work on this planet (some 15 quintillion, or 15,000,000,000,000,000,000) than there are leaves on all the trees in the world. In 2015, the four major chip-making firms were making 14 trillion transistors every single second. Also the sizes of the individual transistors are well down into the atomic level. 이 지구에는 전 세계의 모든 나무의 잎들도다 더 많은 트랜지스터가 가동되고 있다. 1500경 정도다. ..
-
정밀함밑줄 2019. 7. 27. 12:33
The argument he put forward was persuasive in its simplicity: precision, he said,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 modern world, yet is invisible, hidden in plain sight. We all know that machines have to be precise; we all recognize that items that are of importance to us (our camera, our cellphone, our computer, our bicycle, our car, our dishwasher, our ballpoint pen) have to sport components t..
-
all wrongness is optimism밑줄 2019. 7. 26. 06:23
In this sense, all wrongness is optimism. We err because we believe, above all, in ourselves: no matter how often we have gotten things wrong in the past, we evince an abiding and touching faith in our own stories and theories. Traditionally, we are anxious to deny that those stories and theories are stories and theories — that we must rely on our own imperfect representations to make sense of t..
-
7월 24일 - The New Geography of Jobs책 2019. 7. 25. 01:43
캘리포니아 버클리대 경제학과 교수인 Enrico Moretti가 쓴 “The New Geography of Jobs”를 읽었다. 그는 최근 30년간 미국사회를 규정하는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지역간의 격차(The Great Divergence)”라고 주장한다. 고학력자가 많이 거주하는 하이테크 산업이 발전한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과의 경제적 사회적 격차에 대한 이야기다. 미국은 1950년대 이후 제조업의 호황으로 경기성장을 이루었다. 제조업은 안정적인 일자리를 주었고 이의 성장은 미국중산층의 성장을 이뤘다. 1978년에 미국의 제조업은 최고점을 찍고 쇠퇴해간다. 1985년이후 미국은 매년 37만2000개의 제조업 일자리를 잃고 있다. 이제 미국은 10명당 1명도 제조업이 고용하고 있지 못하다. 안정적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