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월 9일 - 지루함밑줄 2019. 4. 11. 01:38
A few centuries ago, most people’s lives were characterized by repetitive tasks, long hours of solitude, and a dearth of stimulation. Novelty and change were rare, and people were suspicious of it while being perfectly comfortable with conditions that we would today find extremely tedious. (중략)
Because tedium used to be the norm, the concept of “boring” — or at least the English word for it — didn’t even appear until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late eighteenth century. Since then, both the availability of stimulation and our thirst for it have gradually grown — especially in the twentieth century, which saw the rise of electricity, radio, television, movies, and new modes of transportation.
몇세기 전만해도 대부분의 사람들의 삶은 반복적 일과, 오랜시간의 고독, 자극의 부족으로 특징지어 졌다. 새로움과 변화는 드물었고 요즘 사람들의 관점에서 보면 매우 단순반복적이라고 생각할 만한 상황에 완전히 편안했고 반면 새로움과 변화를 의심의 눈으로 바라봤다.
(중략)
단순반복적인 삶이 당연한 것이었기에 “지루함”이라는 개념 — 적어도 영단어로는 —은 산업혁명이 돼야 나타난다. 산업혁명 이후 특히 전기, 라디오, 텔레비전, 영화, 그리고 교통수단이 등장한 20세기에 우리가 누릴 수 있는 새로운 자극과 함께 이에 대한 우리의 허기도 점차 늘어나게 되었다.
—-
Leonard Mlodinow의 “Elastic” 중 에서. 지루함(boring)이라는 단어가 산업혁명 이전에는 없었다는게 신기하다. 그 전에 사람들은 지루한 표정을 요즘 처럼 잘 짓지 않았던 것인가? 요즘 사람들처럼 단순반복을 견디지 못해 더 새롭고 센 자극을 찾아나서는 안절부절함이 아니라 단순반복을 아주 편안하게 받아들인다는 것은 어떤 느낌일까.
'밑줄'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월 19일 - 창조적 과정 (0) 2019.04.20 4월 11일 - 미로 (0) 2019.04.13 4월 7일 - 공짜밥 (0) 2019.04.08 4월 3일 - 픽사 코드 (0) 2019.04.04 3월 29일 - 인생의 오후 (0) 2019.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