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3월 12일 - Measure what matters
    2019. 3. 13. 23:31



    John Doerr의 “Measure what matters: How Google, Bono, and the Gates Foundation Rock the World with OKRs” 어떻게 목표를 달성하나에 대한 방법론에 대한 책이다. 책은 인텔의 앤디 그로브가 창안해서 적용한, 조직내 목표 달성을 위한 경영방법인 OKR(Objective Key Results) 소개하고 있다. OKR 이름에서 명확히 드러나듯 목표(Objective) 핵심결과(Key results) 이뤄져있다.


    목표(objective) 무엇을 성취할 것인가다. “목표는 의미있고 구체적이며 행동지향적이고 (이상적으로는) 영감을 줘야 한다. 적절히 고안되고 적용된다면 이는 불명료한 생각과 실천에 대한 예뱡접종 같은 역할을 한다” (By definition, objectives are significant, concrete, action-oriented, and (ideally) inspirational. When properly designed and deployed, they’re a vaccine against fuzzy thinking—and fuzzy execution.).


    핵심결과(Key resutls) 목표를 달성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냐에 대한 기준이다. 핵심 결과는 반드시 측정할수 있는 형태로 만들어져야 한다. 구체적이고 대드라인이 정해져야하며 공격적이면서도 현실적이어야 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핵심결과는 측정가능하고 검증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수제자 마리사 메이어가 말하길숫자가 없으면 핵심결과가 아니다.”) 핵심결과를 달성하든가 하지 않는가만 있을 뿐이다. 사이 중간지대는 없고 어떤 의심의 여지가 없어야 한다.” (Most of all, they are measurable and verifiable. (As prize pupil Marissa Mayer would say, “It’s not a key result unless it has a number.”) You either meet a key result’s requirements or you don’t; there is no gray area, no room for doubt.)


    그리고 정해진 기간이 지나면 핵심결과가 달성됐는가를 살핀다. 목표는 지속될수 있지만, 핵심결과는 일이 진척됨에 따라 발전한다. 핵심결과가 달성되면 목표는 자동적으로 성취되도록 고안돼야 한다.


    책에는 원리를 적용한 크고 작은 기업의 다양한 경영성공 사례가 나와 있다. 조직내에서 실천 방법에 대한 각론 역시 자세히 기술돼있다. 


    방법은 물론 개인의 실천을 위해서도 유용하다예를 들어 살을 뺀다라는 목표를 세운다면, 핵심결과의 예로는 

    1. 매끼니에  두숫가락씩 먹는다.

    2. 간식은 하루에 한번만 먹는다.

    3. 커피는 블랙만 마신다.

    이를 한달간 실천하고  달성여부를 평가한뒤 다시 핵심결과를 설정한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월 16일 - Algorithms to live by  (0) 2019.03.18
    3월 15일 - 디지털 미니멀리즘  (0) 2019.03.16
    3월 6일 - Outer Order Inner Calm  (0) 2019.03.08
    2월 24일 - The Body Keeps the Score  (0) 2019.02.25
    2월 16일 - 인간 본성의 법칙  (0) 2019.02.17
Designed by Tistory.